Report(2697)
-
서울성남중, 성남고가 검도명문인 이유
서울성남중고등학교를 찾았는데, 중학교 검도장을 방문하던 중에 이가을선생으로부터 국내 최초의 검도교본인 복사본을 한권 받았다. 이 책은 서울성남중고등학교에서 검도를 지도하던 김응문선생님이 직접 저술했다. 여기에는 검도의 역사를 이야기하고 싶었는지 일제강점기 조선무도관 단체사진이 있고, 당시 대통령인 박정희 전대통령이 진검을 든 사진이 있다. 서울성남중고등학교는 이태원에서 설립되어 대방동이전이후 학교무도교육의 체계를 만들어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 유도와 검도를 중심으로 무도를 체계적으로 변화를 주고 고민한 시기가 1960년대다. 이 시기 설립자김석원 교장은 대한검도회장도 맡으며 육군사관학교에 검도를 정규교과과정에 채택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40여년전 한양대학교 이학래교수는 보성중고등학교 유도장..
00:32:55 -
미국 WHAF 개척자, 홈 네우만박사 서거
WHAF의 미국의 초대회장인 Holm Neimann박사님이 서거하였습니다. 오레곤의 의과대학 교수 퇴직이후 WHAF 騎射종목 보급을 위해 창립시기부터 활동했습니다. 매년 개최되던 속초대회에 방문하며, 큰 수술이후 마지막일지 모른다며 눈물짓곤 하셨습니다. 그러나 횟수가 지속되며 웃으며 다시 태어났다고 농담을 하곤 했습니다. 고인의명복을 빕니다 Dr. Holm Neimann, the first American president of WHAF, has passed away. May he rest in peace.
00:16:49 -
등신等神
검찰과 세관의 마약수사 직무유기 의혹을 담은 다큐멘터리 ‘미씽링크’를 보았다. 이 다큐에서 담지 못한 백해룡 경정의 폭로와 질문을 담았다. 수사한 이들은 좌천되고, 경찰서장은 대통령실로 갔다. 이런 사건을 해명하지 못하는 검찰과 세관의 모습, 그리고 이 수사를 위해 뛰었던 이들이 느낀 상실감, 지금 이 시대의 민낯을 보여 주고 있다. 모든 시스템이 후진국으로 가고 있다. 양극화가 극에 달하고 있다. 이를 두고 서로 탓하기 바쁘다. 사리사욕을 챙기기 위해서 헐뜯고, 싸우고, 죽이고, 자기의 주장을 굽히지 않으려고 어불성설을 늘어 놓는가 하면 一身의 안녕과 가족의 행복만을 추구하는 만연하는 이기주의, 이런 세상에서 사는 사람은 모두 등신等神이라고 한다. 잠시나마 불공정 방송급 헌재 탄핵변론을 보지 않으니 조..
00:00:40 -
무예시범에 북과 징이 등장하는 이유
우리나라는 교방고(敎坊鼓, 위 사진)라고 하여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연향에 편성되었던 대표적인 북이 있었다. 최근에는 무술시범에 정체불명의 북이 등장하기도 하지만, 태극문양이 그려진 대북을 사용하는 시범에 주로 사용한다.일본에서 유입된 검도와 유도의 경우 도장안에 북이 설치된 경우가 많다. 국내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북을 사용하고 있지만, 일본의 와타이코(和太鼓, 위 사진)라는 북은 고대부터 신사와 사원의 축제 및 각종 의식에 등장한다. 일본에서는 북채로 치는 것을 “타이코(太鼓)”라고 하고 손으로 치는 것을 “츠주미(鼓)”라 한다. 최근 동양의 공연예술에서는 단순해 보이는 북과 징이지만 다양한 표현을 보여준다. 영화나 드라마에서 무술경기장은 북이나 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탕구(堂鼓,..
2025.02.02 -
스포츠는 건강여부에 있어 양날의 검이다.
스포츠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정말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긍정적인 면에서는 신체 활동을 통해 심혈관 건강, 체중 관리, 심리적 안정 등 여러 면에서 이점이 크다. 예를 들어, 젊은이들과 노인 모두에게 심리사회적 발달과 같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스포츠 활동이 알코올 섭취 감소나 후기 발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주기도 한다. 또한,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장기적으로 더 높은 수준의 신체 활동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부정적인 측면도 분명 존재한다. 정신적인 스트레스나 실패의 위험, 부상의 위험, 심리적 번아웃 같은 문제는 엘리트 수준의 스포츠에서는 특히 두드러질 수 있다. 지나치게 체계적인 훈련이나 과도한 경쟁은 때때로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흥미로운 점은, 선수와 같이 ..
2025.02.01 -
항공승무원은 한국인을 바로 알아 본다
항공승무원은 세계의 많은 국가 사람들을 만나는 직업이다. 이들의 눈에 비친 각국 사람들의 성격과 행동은 승무원 생활을 오래할수록 금방 구분할 수 있다. 그 중에 한국인은 쉽게 구분된다고 하는데, 아마도 행동특성에서 찾는 것으로 보여진다. 1. 식사메뉴를 이미 골라 놓고 식사용테이블을 펴 놓는다. 2. 옆자리 자는 사람도 깨워서 밥을 먹게 한다. 3. 한국인이 여럿이 여행하는 경우에는 한사람이 메뉴를 받아놓고 한번에 주문한다. 4. 공항에 일찍 도착해 여권을 들고 앉아 있는다. 5. 등산복이나 골프복을 입고 단체로 모여 있는 사람들은 거의 100% 한국인이다. 6. 무빙워크에서 뛰어가는 사람도 대부분 한국인이다.
2025.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