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rt(2703)
-
태권도단체의 친절이 도장을 살린다
도장이라는 곳은 사회교육의 현장이라고 계속 강조해 왔다. 하지만 그 도장에게 힘을 불어 넣어줄 태권도단체들은 무엇을 하고 있는가? 태권도장을 운영하는 사범과 관장들은 하나같이 태권도단체들에게 불만이 많다. 과거 군부독재시절의 거만함을 배운 제도적 권위와 제도권의 태권도인들이 입버릇처럼 내뱉는 “너 몇단이야?”는 식의 단(段)권위들로 태권도단체들이 도장경영자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는 거만한 모습뿐이다. 과거에 비해 개선은 되고 있다고는 하지만 아직도 멀었다는 비판이 많다. 이러한 비판중 가장 큰 것이 ‘불친절’이다. 태권도가 예(禮)라는 덕목을 강조하면서도 실제 우리 태권도계는 친절도, 질서도, 심지어 인륜마저도 심각하게 멍들어 가고 있다. “콩심은데 콩 나고 팥심은데 팥 난다”라는 속담처럼 뿌리는 만큼 거..
2010.01.21 -
지역 태권도마케팅 붐
최소한 10억이상의 경제적 이득 노동연박사 지방도시들의 태권도마케팅을 통한 지역경제를 살리려는 움직임이 눈에 띠고 있다. 최근 개관한 홍천체육관과 종합운동장 등 최신식 시설을 바탕으로 각종 전국단위 태권도대회를 유치해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실제 홍천군은 제6회 세계주니어대회 한국선발전겸 제2회 한국중고연맹회장배 품새대회, 전국대학개인전 대회, 세게대학선수권대회 한국선발전을 유치하는데 성공했다. 태권도의 경우 전국대회를 개최할 경우 지역내에 커다란 경제적 파급효과를 얻는다는게 태권도관계자들의 분석이다. 이렇다 보니 태권도대회를 유치하려는 지방도시들의 유치경쟁은 뜨겁다. 올 전국태권도대회와 관련해 춘천, 홍천, 횡성, 원주와 같은 강원권에서 대회유치에 성공했고, 충청권은 충주와 공주, 호남권은 익산, 전주..
2010.01.21 -
무술용품산업 시대가 왔다
기존 스포츠화된 무술종목 상품이외에도 무술을 소재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개발되면서 무술용품산업계에는 이와 관련된 상품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무술이 서구스포츠와 달리 정신적이고 육체적인 효과를 가져온다고 입소문이 퍼지고 있고, 최근 이종격투기 등에서 다양한 무술들이 등장하면서 도복, 복싱장갑, 샌드백 등 다양한 용품들이 인기리에 소비자를 겨냥하고 있는 것으로 업계 관계자들은 밝히고 있다. 특히 해외 기업들이 무술붐을 타고 시장진출을 꾀하고 있어 새로운 산업분야로 등장하고 있다. 미국 최대 복싱용품 제조업체인 '에버레스트(EVERLAST)' 등이 무술용품개발에 나섰고, 세계적 브랜드로 알려져 있는 아디다스와 나이키가 태권도용품시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한다. 이미 태권도시장을 점유..
2010.01.21 -
도장레크리에이션 살리기
우리는 흔히 레크리에이션(recreation)에 대한 개념을 단순한 놀이나 게임정도로 이해하고 있다. 이러한 생각은 국내에 레크리에이션이라는 개념이 기독교 문화가 유입되면서 교회에서 행해지던 놀이나 게임으로 인식해 온 것에 기인하는 듯 하다. 하지만, 미국이나 일본에서의 레크리에이션이라는 의미는 상당히 넓게 이해되고 있다.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생활체육이라는 개념도 ‘leisure & recreation'이라든가, 혹은 ’recreation for all'과 같이 사용되고 있다. 몸을 움직이는 놀이라는 개념으로 레크리에이션 영역에서는 ‘스포츠’를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스포츠레크리에이션의 영역은 이미 일본에서는 고령화사회가 진전됨에 따라 ‘초고령화 사회의 진전’에 따른 정책이었다. 스포츠레크리에이션의..
2010.01.21 -
청소년태권도, 제도적 장치 필요. 2008
저연령층의 수련생 위주라는 일선 도장들의 수련층 한계에 대해서는 이미 태권도계에서 많은 논의가 있었다. 저연령층의 수련생 감축의 원인을 출산률 저하와 같은 환경적인 요인으로 연결시키는 것 역시 당연한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수련층의 확대로 이를 극복할 수 있다는 시각을 넓힌다면 태권도장의 새로운 희망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경제성장과 사회변화에 따른 청소년의 가치관과 행동양식의 변화, 입시위주의 학교교육 등으로 인해 점차 심각해지고 있는 청소년문제의 해결은 정부나 지자체나 학교 등이 바라는 사항이다. 청소년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청소년 육성에 있어 태권도의 전문적인 지도기법 및 자질을 갖춘 도장지도자가 있다면 앞으로 청소년 정책에 있어서도 새로운 방안을 기대할 수 있다. 그동안 우리사회에서..
2010.01.21 -
학교태권도교육 의무화 신중할 필요 있다. 2008
최근 태권도특별법의 시행을 앞두고 태권도계에서는 학교교육의 일환으로 태권도를 학교 교과과정에 포함시키자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제도권에서는 각 학교에서 태권도교육을 강화하는 데 찬성하는 눈치다. 과연 학교에서 태권도를 의무화했을 경우 태권도의 생명력과 대중성은 살아 숨쉴 수 있을까? 이미 일본에서는 1979년부터 1981년 3년의 계획을 두고 그들의 무도교육을 구제책으로 내세워 유도와 검도를 제시한바 있다. 이 당시 일본의 문부성에서는 ‘유·검도 교육추진을 위한 시책 확장에 관해서’의 내용이 발표되어 중학교 및 고등학교에 관해 개정 교육과정 및 지도서에 입각, 유.검도 교육의 교육을 추진하면서 각 학교에는 도장이 신설되었고, 지도자 양성에 관해서는 대학의 체육학부중에 무도학과의 설립을 인정하여 유..
2010.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