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rt(2711)
-
무술시범의 변화
무술의 시범과 관련된 내용은 이미 고대에서부터 출발한다. 전쟁기술을 목적으로 무술이 존재했던 시기에 우수한 무사를 선발하기 위한 방법으로 무술의 연무를 통해 선발했거나, 의례적 행위속에 무무(武舞)를 통해 기예(技藝)적인 측면의 무술이 존재했다. 또한 해외 교류에 있어서도 무술의 시연도 있었다. 무술에서 무술적 특성을 보여주는 행위와 관련된 용어는 연무(演武, practice of martial arts), 시범(示範, demonstration), 시연(試演, performance)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무술계에서는 시범 혹은 시범단이라는 명칭으로 시범이 보편화 되어 있다. 무술을 보급하고 활발한 활동중 하나인 시범과 시연은 한국을 대표한 태권도는 물론 무술전반에 걸쳐 두르러진 현상이다. 특히 협회와 ..
2010.02.03 -
청소년무도교육의 제안
청소년에게 있어 무도교육은 과거 기술중심의 교육을 뛰어 넘어 미래의 리더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교육방향이 제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도본질을 살릴 수 있는 교육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사회에 접근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본 고에서는 다양한 무도관련 클럽 조직, 단계별 리더교육실시, 무도교육의 연합활동 지원, 지역에 봉사할 수 있는 연계활동, 그리고 예산지원 등을 들 수 있는데, 그 내용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1. 청소년 무도클럽 조직 청소년들의 무도교육을 활성화를 위해서는 그들의 활동을 보장할 수 있는 클럽활동을 통한 공동체의식을 기를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학교뿐만 아니라, 학교외 활동에 있어서도 지역 공공시설과 일선 도장에서 활동할 수 있는 클럽을 지원한다면 기..
2010.02.03 -
현대무술의 특성과 변화
국내에서 무술에 대한 논의의 시작은 불과 10년 정도다. 이 과정에서 많은 학자들은 ‘무도와 스포츠는 다르다’는 것과 전통무예에 대한 발굴, 그리고 동․서 체육사상의 만남이라는 주제 등으로 무도를 논의해 왔다. 그동안 역사적인 관점에서 보면, 무술은 생존을 위한 수단, 전쟁기술, 건강, 그리고 스포츠로의 그 모습을 바꿔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우리 생활 속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게임, 패션, 만화, 영화, 건강, 스포츠, 교육의 소재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생활 속의 무술은 이미 생소한 용어가 아니다. 그리고 동양인들의 삶속에는 자연스럽게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접하고 있다. 이것은 무술이 우리의 일상적인 삶의 세계를 둘러 보더라도 다변화되는 현상에 대해 거역할 수 없는 대세가..
2010.02.03 -
현대무술이 제기하는 철학적 물음들
무술의 세계화에서 가장 심각하게 제기될 철학의 문제들은 무술의 세계화 본질과 정체성에 대한 물음이 될 것이다. 무술의 세계화의 본질에 대한 물음은 단순히 무술을 누가 어떤 목적으로 주도하고 있는가하는 물음을 넘어서서 그것이 어떤 의미를 갖는가를 묻는 것이다. 이것이 무술의 정체성에 대한 물음과 맞물려 무술의 세계화가 자칫 동양무술의 정체성을 절멸시키면서 진행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우려가 있다. 첫째, 무술의 세계화가 가속화되면서 여러 문화가 뒤섞이는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다. 동양에서 보급된 무술들이 각국에서 그들만의 문화와 접목돼 새로운 신생무술들이 등장하고 대중화에 이르고 있다. 그리고 무술이 서구문화의 영향으로 스포츠화된 종목 역시 그 내면에는 서구스포츠의 경기규칙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하나의..
2010.02.03 -
태권도지도자 변해야 산다(2007.09. 월드태권도신문)
주택가에 사는 필자는 가끔 밖에서 들리는 태권도수련생들의 기합소리를 자주 듣는다. 귀한 자식을 도장에 보낸 부모들은 그 소리를 들으며 자식이 커가는 모습에 흐뭇해 한다. 수련을 마쳤는지 땀에 흠뻑 젖은 도복을 입은채 골목을 들어서는 아이들의 얼굴에는 생기가 돈다. 그들을 바로 보는 어른들의 표정을 유심히 쳐다보고 있으면 그들 역시 얼굴에 무언가를 만족하는 듯 미소가 가득하다. 어른들이나 아이들이나 태권도장에서 수련한 의미보다는 생기있는 모습의 아이들의 모습만으로도 골목이 화기해지는 것이다. 이처럼 우리는 보이는 모습만 바라 보았지, 그 생기가 어디에서 나왔는지는 고민하지 않는다. 그만큼 도장을 운영하든 학원을 운영하든 간에 실체를 알리기란 어려운 실정이다. 하지만 집으로 돌아와 태권도장을 다녀온 자식을 ..
2010.02.03 -
대통령 경호원과 무도수련
이 자료는 2000년 용인대 경호학과 무도론 강의시간에 유인물로 전한 강의자료임. 대통령경호실의 교육내용중 무도(武道)가 있다. 무도에 대해 단순히 호신과 기술을 연마해 경호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기능적 방법에 불과하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것은 무도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데서 오는 어리석은 해석이다. 단순한 기술과 기법은 숙련에 의해 발달된다. 하지만 무도수련에 있어서는 다양한 정신철학이 내포되어 있다. 현대사회와 밀접한 공동체(共同體)도 있지만, 원래 무도는 충(忠)과 경(敬)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충(忠)은 신하가 임금에게 또는 아랫 사람이 윗 사람에게 몸과 마음을 다해서 모신다는 기본적 의미뿐만 아니라 임금이 백성들에게 이롭게 해 줄 것을 생각하는 것(思利民忠也), 맛있는 음식으로..
2010.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