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끼다시, 츠키다시

2025. 2. 16. 10:00In Life/食

728x90
반응형





언어는 문화와 시대적 변화에 따라 그 의미가 변하기 마련이다. 일본어에서 유래한 ‘스끼다시(スキダシ)’라는 단어 또한 본래의 뜻과는 다르게 한국에서 자리 잡았다. 원래 일본에서는 ‘츠키다시(突き出し, つきだし)’라는 용어가 음식점에서 제공되는 간단한 전채 요리를 의미했지만, 한국에서는 무료로 제공되는 곁들임 음식의 개념으로 변화했다. 이 글에서는 ‘스끼다시’라는 용어의 유래와 한국에서의 의미 변화를 살펴보고, 그 원인과 함의를 분석하고자 한다.


1. 일본에서의 '츠키다시'와 '오토오시'

일본에서 ‘츠키다시(突き出し)’는 손님이 주문한 요리가 나오기 전에 제공되는 간단한 음식이다. 일반 음식점에서 쓰이는 용어이며, 비슷한 개념으로 술집에서는 ‘오토오시(お通し)’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즉, 두 용어 모두 메인 요리가 나오기 전에 제공되는 작은 요리를 뜻하며,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고객이 지불하는 음식의 일부로 여겨진다.

2. 한국에서 '스끼다시'의 의미 변화

한국에서는 '츠키다시'라는 단어가 변형되어 '스끼다시'로 불리게 되었으며, 일본의 개념과는 다르게 자리 잡았다. 한국의 일식당이나 횟집에서는 다양한 곁들임 음식을 제공하는데, 이는 원래 일본의 ‘츠키다시’ 개념과 다르다. 특히 한국에서는 이러한 음식이 무료 서비스의 개념으로 정착되었고, 손님들은 이를 당연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

3. 의미 변화의 원인 분석

① 음식 문화 차이: 한국은 반찬 문화가 발달하여 기본적으로 여러 종류의 곁들임 음식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본에서는 전채 요리가 별도로 주문되거나 자동으로 포함되지만, 한국에서는 반찬 개념과 결합되어 ‘서비스’로 여겨지게 되었다.

② 고객 서비스의 차이: 한국에서는 ‘덤 문화’가 강하게 자리 잡고 있다. 이로 인해 횟집이나 일식당에서 손님 유치를 위해 다양한 스끼다시를 무료로 제공하는 방식이 정착되었다.

③ 언어의 변형 및 정착: 일본어 ‘츠키다시’가 한국식 발음인 ‘스끼다시’로 변형되면서 본래 의미와는 다르게 사용되었다. 이는 외래어가 한국 사회에서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는 일반적인 현상의 한 예라 할 수 있다.



‘스끼다시’라는 단어는 일본에서 유래했지만, 한국에서 독자적인 의미로 정착되었다. 이는 한국의 반찬 문화와 서비스 중심의 외식 문화가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언어는 단순히 단어의 차용이 아니라, 그 사회의 문화와 실생활에 맞게 변화하고 발전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의미를 획득한다. 이러한 사례를 통해 한국과 일본의 음식 문화 차이를 이해할 수 있으며, 나아가 외래어의 변형과 정착 과정을 연구하는 데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