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도시를 꿈꾸는 지자체들, 그리고 실패의 원인

2020. 4. 6. 20:50Report/City Marketing

728x90
반응형

세계적인 스포츠도시를 꿈꾸는 부산광역시

스포츠도시는 종래의 도시산업 기반이 쇠퇴 해버린 일부 산업도시들을 중심으로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회복하기 위해 스포츠를 성장동력의 발판으로 삼아 스포츠-시티노믹스(citinomics)를 추구함으로써 창발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국내에서도 스포츠와 스포츠 이벤트를 도시 경제성장 동력으로 지정하여 스포츠도시를 꿈꾸는 지방자치단체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다. 부산, 대구, 인천, 광주, 평창, 영암, 군산을 필두로 문경이 스포츠 활력도시를 선언, 2011 스포츠과학박람회를 앞세워 스포츠산업단지 조성을 통해 스포츠도시를 선포한 태백, 고대산야구장을 내세우는 연천군 그 외 춘천, 동해, 울진, 안동, 경주, 포항, 여수, 제주, 양평, 인제, 양구, 등등 수많은 지자체 도시들이 유행처럼 스포츠도시를 경쟁적으로 선언하고 있다. 사실상 한국에서 스포츠도시를 선포하지 않은 중소도시를 찾아보기가 더 힘든 실정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 열정의 결과로서 한국은 표면적으로는 동·하계 올림픽과 월드컵, 세계육상선수권대회의 4대 국제 스포츠 이벤트를 모두 유치 또는 개최하는 스포츠강국으로서의 지위를 획득하였다.

 이러한 스포츠도시화의 물결은 스포츠 강국 대한민국의 입지를 대외적으로 굳건히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반면 내부에서는 2018년 동계올림픽을 유치하기 위해 개발된 알펜시아의 파산위기, F1을 필두로 전남이 진행하는 서남해안 스포츠레저도시 조성사업인 J프로젝트의 대규모 적자구조에 대한 문제제기, 대규모의 비용부담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2015 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 대회, 태백시의 오투리조트의 실패 등의 사회적 이슈들이, 연이은 스포츠도시화 실패의 학습과 그에 따른 지속가능성의 의문과 회의론을 유발하고 있어, 한국 내 스포츠-시티노믹스에 대한 민·관 레짐의 급격한 붕괴가 예상되는 상황이다.

 고도의 도시경영역량이 요구되는 스포츠-시티노믹스 추진의 경우에서도 재정자립도가 낮은 한국의 지자체들은 국제스포츠이벤트에 대한 사업비를 자체조달하기 어려운 형편이며, 10억 원 이상의 국고지원의 경우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의 유치심사를 거쳐 최종적으로 기획재정부의 심사를 받아야 한다. 2013년 충주세계조정선수권대회, 2014년 인천아시아경기대회, 2015년 경북문경세계군인체육대회, 2015년 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2018년 평창동계 올림픽 등의 대다수의 지자체 유치·개최의 국제스포츠 이벤트들이 중앙정부의 국비지원을 통해 진행되고 있다. 국회 예산정책처(2013)의 국제스포츠행사 지원사업의 평가에 따르면 스포츠 주도형 도시재건전략을 문제화하는데 있어서, 단선적으로 스포츠와 국제스포츠이벤트라는 테마 그 자체의 고유한 속성과 관련되어 야기되는 문제라기보다는 스포츠-시티노믹스를 적용하는 도시정부의 도시경영역량의 문제로 바라보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특히 F1 국제자동차 경주대회의 경우는 중앙정부의 승인 없이 민간자본 조달 계획을 기반으로 지자체가 독자적으로 유치하였으나 민간자본조달 실패에 따라 종국에는 특별법 제정을 통해 중앙정부가 국비를 지원한 미숙한 도시경영사례로 불 수 있다.

 스포츠를 테마로 하는 도시경영의 영역에서는 지역주민을 비롯한 도시의 내·외부고객, 스포츠조직, 스포츠마케팅조직, 스포츠클럽과 팀, 선수단, 미디어, 팬, 관중 및 스포츠관광객, 투자가, 스폰서, 자원봉사단체, 관광 및 스포츠시설산업, 접객 및 이벤트산업, 주변의 관련 도시정부, 중앙정부 등 도시정부를 넘어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포괄적으로 포함되기 때문이다. 스포츠도시화를 추구하는 도시정부가 스포츠경영 역량을 최적으로 조율해 낼 수 있을 때 스포츠가 해당도시의 경제재건과 개발을 위한 동력이 될 수 있다.

 멜버른, 맨체스터, 인디아나폴리스, 쉐필드 등 다수의 성공적 스포츠도시들의 전형에서 스포츠 주도 경제재건의 스포츠-시티노믹스의 유효성은 현재까지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시정부들은 전문적인 스포츠-도시경영과 마케팅 역량을 근간으로 공격적 스포츠도시화 정책과 전략에 적응해내었고, 이러한 적응적 상황 아래의 도시경제재건과 개발에 대한 스포츠-시티노믹스 전략의 가치는 그러한 전략을 적응해 내지 못하는 도시정부들에서의 가치와는 분명하게 달라진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