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도(13)
-
검도, 세계대회 우승자 김춘경
1969년 4월 27일. 세계검도선수권대회의 전신인 사회인국제검도대회에서 개인전에 고 김춘경선수가 우승을 차지한다. 아마도 최초의 개인전 우승일것이다. 그는 5단부이하 경기에서 일본의 선수를 상대한 결승전에서 3분 32초만에 머리와 허리치기로 우승을 차지한다. 그는 육사 검도교관을 비롯해 용인대 검도교수로 재직한바 있다. 그의 지도철학은 "검도는 발로 하는 것이다"였다. 항상 기본을 중시했고, 머리나쁘면 검도를 못한다고 자주 이야기했다. 이러한 이유로 하체훈련을 강조했고, 용인대 뒷산인 부아산 크로스컨트리를 자주 시켰다. 그는 검도계에서 전설적인 인물로 남아 있다. 단별선수권대회라는 대회가 있는데, 동일한 단끼리 하는 시합으로 1단부터 7단까지 우승한 적이 있다. 대학시절 소주를 함께 마시며 한 말씀이 ..
2010.11.06 -
검도, 최초의 국가대표는?
네이버 '검도세계카페'에 닉네임 셋쇼마루님이 올려주신 사진과 글입니다. 사진과 글을 그대로 옮깁니다. 바로 이사진은 1967년도 최초의 국가 대표 선수들입니다. 18명의 정예선수들이 3조로 갈려 풀리그전 끝에 A조 우승 강용덕 B조 우승 김춘경(위 사진에는 훈련불참으로 없음) C조 우승 김재일, 자동케이스 김영달, 정태민, 5명이 선발되었습니다. 나머지 분들은 제 3회 국제 사회인 대회 출전자 들입니다. 5인조 첫 시합에 일본에 유일하게 이긴 강용덕 선생은 상대 오가켄지로(전 무도대학장)을 2:0으로 격파한 귀재입니다. 좌로 부터 서정학, 정태민, 김영달, 서동준, 강용덕, 이홍국, 김석춘, 전동욱, 윤병일, 그 옆은 당시 서울대학생으로 김영배 선생 조카가 그냥 참여 한 것 입니다. 마지막 김영배 선생 ..
2010.02.19 -
미국 검도이야기-서울성남고 LA동문회, 2007이야기
2007년 한국일보와 중앙일보에 "제2회 김응문 선생님 추모 세미나"에 대한 가사가 실렸습니다. 서울 성남고등학교 LA동문회에서 과거 검도선생님을 추모하는 추모대회에 자리를 보도한 것입니다. 끈근한 동문 이야기가 미국에서도 있다니 대단합니다. 1. 한국일보 기사 (8월 13일, 2007년) '스승존경, 동문사랑' 검도의 정신이죠 성남중고 검도부 출신 '성검회' 고 김응문 선생 추모 세미나 가족, 한국 동문들도 초청 이국땅서 검도의 맥 이어가 예로부터 스승의 그림자는 밟지도 않는다고 했다. 시대가 변하고 세상이 달라지고 있지만 여전히 ‘스승 존경’을 마음에 새기고 우정을 나누는 동문들이 있다. 바로 성남중고등학교 검도부 출신들로 구성된 ‘성검회’ 미주 동문들이다. 이들은 지난 달 세리토스에 있는 리저널 팍..
2010.02.07 -
한중일이 탐한 조선세법(朝鮮勢法)
'조선세법(朝鮮勢法). 17세기 초 중국의 모원의(茅元儀), 1594∼1644)가 쓴 중국의 병법을 집대성한 에 나오는 검법이다. 란 중국 역대의 모든 병법서(兵法書)를 참고하여 명(明)나라 말기에 만들어진 것이다. 84권부터 92권까지가 교예편(敎藝篇)으로 여기에 유일하게 검법(劍法)이 있는데 이 검법의 이름이 ‘조선세법’이다. 모원의는 조선세법에 대해 '근자에 호사자(好事者)가 조선에서 검법을 얻었는데 그 법이 구비되어 있다. 중국에서 잃은 것을 사예(四藝)에서 찾은 것이다'라고 설명해 당시 검법의 존재를 말하고 있다. 또 현대 일본검도인 'Kendo'의 정립과정에 조선세법도 영향력이 있었다는 기록도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 에 있는예도에도 영향력이 있다는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런 관점에서 조선세법..
2010.01.29 -
한국에는 검도가 없다
개화기 일본에서 Kendo유입, 90년대 유사단체 증가 혼란 우리나라에서 검도는 근대체육의 태동기라 할 수 있는 근대초 개화의 분위기속에 일본에서 유입된 것이다. 우리나라의 개항시기인 1876년에 일본에서 다양한 서구식 혹은 일본식 체육이 유입되었다는 가설속에서 죽도형태의 검도가 이 시기에 무도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으면서 해방이후 우리나라의 힘으로 단체를 조직한 대한검사회 조직구성이전인 1947년까지 존재했음을 부인할 수 없다. 해방이후 한국검도는 일제검도의 유형이 그대로 반영된다. 대한검도회 창립과 더불어 대한체육회에 가맹되게 되고, 그후 학교체육과 군경에서 활성화가 이루어진다. 하지만 1988년 올림픽이후 대중화가 이루어지면서 도장이 급증하게 되었고, 유사검도단체가 등장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유사단체..
2010.01.11 -
일제시대 도장은?
일제통치하에 우리나라에는 다양한 스포츠종목이 유입되었다. 선교사들에 의해 서구스포츠가 유입되었으며, 일본인들에 의해 학교체육 및 일본무도의 유입이 시작되었다. 하지만, 지금 체육사나 무술사를 연구하는 사람들은 당시의 자료를 국내에서 접할 수 있는 것은 당시의 신문기사나 일부연구자들의 연구물을 참고하는 수준에서 정리되고 있다. 필자는 얼마전 일제당시 조선총독부나 민간인들에 의해 시설을 갖추고 있던 무도도장 현황에 대해 1934년에 일본문부성에서 보고된 자료를 발견했다. 당시 일본인들은 검도도장뿐만이 아니라, 유도, 궁도, 스모 등 일본 무도와 더불어 육상, 정구, 야구, 축구 등을 할 수 있는 시설까지 모두 조사되어 있었다. 그 내용중 검도, 유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 보고서의 내용을 기준으로 ..
2010.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