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 본국검과 신검은 별개

2016. 4. 5. 20:19Report/Martial Arts

728x90
반응형

평검, 용검, 제독검 비중 높고 본국검과 신검은 0.2%수준 

조선시대 중앙군 5군영 중 하나였던 어영청습진등록(御營廳習陣謄錄ㆍ사진)

임진왜란이후 단병무예가 실재로 얼마나 보급되었을까?
무예도보통지가 발간되기까지 수많은 무예들이 국내에 있었을 것이라는 추측, 반면에는 우리에겐 임란이후 전통무예가 없었다라는 양론이 팽배한 가운데, 실제 조선후기 무예의 분포상황을 추측할 수 있는 연구가 발표돼 화제다.

군사편찬연구소의 정해인연구원에 의해 발표된 <18세기 어영청중순등록에 나타난 무예>라는 연구보고서에 의하면, 무예도보통지에 수록된 무예들의 대부분이 어영청에서 전수되거나 보급되었다는 점을 밝혔다. 이 보고서에 의하면, 실제 대부분의 합격자가 제독검과 용검, 그리고 평검에 합격했고, 이 수는 전체 무예중 60%를 넘는 과반수이상의 무예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여기서 용검과 평검은 쌍수도의 속칭이며, 보병에게 매우 좋은 무기라고 무비지의 저자인 모원의는 밝힌바 있다.

또한, 1751년부터 1816년까지의 기록을 보면, 시대별로 현격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밝혀내기도 했다. 용검과 평검은 1781년 까지 비중이 높았으나, 1788년이후로는 5%이하로 그 비율이 떨어졌으며, 대신 이 자리를 무예도보통지에 있는 제독검의 합격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50-70%를 웃돌고 있어 18세기 후반이후 제독검의 비중이 높아졌음을 밝혔다.

본국검과 신검은 별개 무예로 보급 

한편, 국내 무예단체들이 가장 많이 복원했다고 주장한 본국검에 대해서는 "무예도보통지에서는 본국검을 신검으로 속칭한다고 하여 두 무예를 같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나, 실제 어영청중순등록에는 같은 시기에 본국검과 신검이 나란히 등장하고 있어 별개의 무예로 시행되었다"고 주장했다. 실제 보고서에 의하면, 본국검은 1788, 1795, 1803, 1807, 1816년에 걸쳐 14명이 합격했고, 신검의 경우는 1807, 1812, 1812년에 결쳐 11명이 합격해 각각 전체에 비해 0.2%의 합격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1795년 장용영 대비교/각군영 중순시험의 합격자를 보면, 신검은 장용영에서 본국검은 금위영과 어영청에서 합격한 사실로 나타나 전 군영에서 고루 분포된 사실이 아님이 밝혀졌다. 또한 각 군영에서는 권법과 평검의 합격자가 높게 나타났다는 사실로 보아도 본국검과 신검의 비중은 크지 않았다.

장교는 궁술에 치중, 군총은 각종무예 뛰어나 

정애은 연구원은 무예도보통지의 편찬을 전후한 시기에 어영청에서는 무예도보통지에 정리된 무예가 보급된 상태였지만 다양한 무예가 일률적으로 광범위하게 보급된 사실에 대해서는 주장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가운데 용검, 평검, 제독검을 중심으로 군병들에게 확산되었고, 생각같이 마상무예에 대해서는 합격자가 많이 나오지 않았음을 밝혔다. 실제 어영청이외에도 다른 군영에서도 무예가 검술위주로 실시한 사정을 비숫했다고 한다.

또한 직급에 따라선느 장관과 장교들은 각종무예에서 상을 탄 사람이 저조했고, 궁술에 치중했으며, 군총은 장관과 장교에 비해 월등하게 각종 무예에서 상을 탄 사람이 많았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