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경성운동장

2025. 3. 15. 22:33Report/City Marketing

728x90
반응형

축구장 윗편의 학교는 덕수중학교와 덕수상업고등학교(현  덕수고등학교 )이고, 축구장 아래에 있는 학교는  한양중학교 와  한양공업고등학교 다. 덕수중과 덕수상고는 각각  을지로4가역 과  한양대역  부근으로 교사를 이전했다. (현재 덕수고는  위례신도시로 다시 이전)

1925년 일본의 동궁(쇼와 덴노) 결혼기념사업의 일환으로 경성운동장이라는 이름으로 건설되었다. 경성운동장은 일본 황실 황태자의 결혼식이라는 일본의 최대 경사를 경축하는 뜻을 담는 동시에 "특히 운동을 사랑하시는 동궁전하의 기념사업으로 운동장 설치계획을 세움은 적당한 처치"라는 것이 그 건립의 이유였다. 경성운동장의 부지가 조선시대의 훈련원(訓練院) 자리와 한양도성 성벽을 허물고 남은 공터였던 만큼, 한민족에게는 식민통치의 역사의 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역사의 굴곡이 뒤엉킨 자리에 그것도 일본 황태자의 결혼식을 기념하는 명분으로 건설한 것이 바로 축구장, 육상경기트랙, 야구장, 테니스장, 수영장 등을 아우르는 '동양 최대의 종합경기장' 경성운동장이었다.

1925년 10월에 개장한 경성운동장(경성그라운드)에 운집한 관중들의 모습이 담긴 사진엽서이다. 오른쪽 아래 ‘C’ 기호는 동일한 엽서세트를 나타내는 표시이다. 멀리 완성되지 않은 한양도성의 지형이 있고, 운동장 트랙 주변 공사 중인 관중석으로 보아 사진촬영 시기는 경성운동장 개장 전후로 생각된다. 언덕 위의 육각정자는 ‘청운각(靑雲閣, 1925년 12월 명명)’이다. 오른쪽 끝 깃발에 그려진 문양은 ‘ホ’의 형상을 한 경찰기장(警察旗章)과 약일장(略日章, 오각형 욱일장)이다.
경성운동장(京城運動場, 경성그라운드)의 육상트랙 및 축구장 전경을 담은 사진엽서이다. 경성운동장이 개장한 1925년 10월 15일은 조선신궁 진좌제(朝鮮神宮 鎭坐祭)가 거행된 날이자 신축한 경성역(京城驛)의 영업개시일이었다. 따라서 해마다 경성운동장에서는 ‘조선신궁 경기대회(朝鮮神宮 競技大會)’가 개최되었다. 왼쪽 지붕이 있는 곳은 야구장 중앙 스탠드이고, 그 옆에 보이는 건물은 1928년 4월 7일에 신축 이전한 고양군청(高陽郡廳, 황금정 6정목 18-12번지)이다. 오른쪽 3층 건물은 경성여자공립실업학교(京城女子公立實業學校, 1928년 12월 18일 준공) 신축교사이다.
경성부(京城府)가 경성운동장(京城運動場, 1925년 10월 15일 개장) 일대 전경을 담아 제작한 사진엽서이다. 근경은 정구장, 왼쪽 위는 야구장, 오른쪽 위는 육상경기장 겸 축구장이다. 원경에 지붕이 있는 건물은 동대문소학교(東大門小學校)이다. ‘경성그라운드’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던 경성운동장의 정식 명칭은 ‘동궁전하어성혼기념 경성운동장(東宮殿下御成婚記念 京城運動場)’으로 ‘동궁’은 히로히토(裕仁) 일본 황태자를 가리킨다. 야구장의 차양막(관람석 지붕)이 처음 설치된 것은 1926년 12월이므로 이를 통해 사진촬영의 시기를 짐작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