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초리 문화

2024. 12. 8. 14:11Report/Research Note

728x90
반응형

드라마 인수대비중에서

서당의 교육은 학생의 능력에 따라 훈장이 개인 지도를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서당에서는 성적표와 같은 강지(講紙)가 있었다. 강지는 단순한 기록물을 넘어 학문과 교육의 중요한 매개체로서 전통적 역할을 담당해 왔다. 현대에는 강의 자료와 디지털 문서로 형태가 변했지만, 지식 전수와 전달이라는 본질적인 역할은 변함없이 유지되고 있다. 여기에는 날짜와 학동의 이름, 그리고 어떤 공부를 하였는지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서당에서의 실력도 날짜마다 평가해 두었다. 성적이 좋으면 ‘통(通)’, 그 보다 못했으면 ‘약(畧)’, 성적이 나쁘면 ‘조(粗)’나 ‘투(鬪)’를 받았다.

조선시대 훈장이 학동들을 때리는 문화가 없었다. 회초리로 학동들을 때리는 것만 생각하는데, 과연 훈장은 회초리로 무작정 때렸을까?

훈장이 학동들에게 숙제를 지시한다. 숙제를 해 오지 않은 학동에게 훈장은 묻는다. "왜 해 오지 않았는가?"  사정을 이야기하면 그럼 "내일까지 해와라" 라는 식으로 이야기했다. 그러나 대답을 못하거나 놀다가 못했다고 이야기하는 경우, 훈장은 “그럼 어떻게 하였으면 좋을까?” 라고 학동에게 묻는다. 학동이 스스로 “저는 맞아야 할 것 같습니다.” 라고 답하면, 훈장은 “나도 그렇게 생각한다. ”라고 말한다. 합의 하에 회초리로 때릴 수 있는 구조였다. 그러나 그 날 때리면 안된다. 훈장은  “그럼 집에 가서 어머니께 말씀 드려라,”라고 한다. 학동이 어머니에게 “저는 좀 맞아야 합니다.”라고 이야기하면, 어머니가 회초리를 만들어 준다. 회초리를 만들어준 갯수대로 때리라는 소리다. 10개를 만들어주면 10대를 때려 달라는 이야기다. 이것이 교편이다.

우리 선조들은 회초리를 비단에 싸서 장롱 깊은 곳에 보관했다. 조선 사대부 집안에서는 자녀의 훈육을 의해 회초리를 사용했다. 비단을 싸서 장롱 깊은 곳에 넣어둔 이유는 부모가 자녀에게 매를 들기전 감정을 추스릴 있는 시간을 주는 것이다. 자녀에게 반성할 시간을 주고 신중하게 매를 들기 위함이다. 회초리를 싼 비단 보자기를 바라보며 한번 더 감정을 추스린다. 그리고 아이에게는 스스로 잘못을 뉘우치고 반성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그러나 무지막지한 학교에서의 교사 폭력은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

일제강점기다. 학교가 군부대마냥 강압적이었다. 교사는 일본도를 차고 있기도 했고, 군복을 입고 명령조로 바뀌었다. 일본의 군국주의 교육에서 체벌은 엄격한 규울을 강조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했다. 이들은 학교에서의 체벌은 교사의 권위와 국가적 질서를 유지하는 방법으로 정당화했다. 이들은 육체적 체벌로 빰을 때리거나 손바닥으로 벌을 주는 행위아 정신적 체벌로는 교실에서 오래 서 있게 하거나 수업을 배제하는 형태들이 있다. 이것이 그대로 우리나라 일제강점기에 적용되었고, 해방 이후에도 지속되었다. 따귀를 때리고, 가슴을 때리던 교사들 대부분은 일본문화를 그대로 받아들인 것이다.

세계 각국은 과거에는 체벌이 학생들의 규율을 유지하고 올바른 행동을 지도하기 위한 정당한 방법으로 여겨졌다. 지금도  체벌에 대한 규정들은 국가와 지역별로 다르다.  하지만, 현재는 학생의 인권과 심리적 발달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강조되며 체벌을 금지하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최근에는 학생의 인권과 심리적 발달이 중심적인 논의로 자리 잡고 있다.  체벌은 단기적인 해결책일 뿐 아니라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어, 대화와 이해를 바탕으로 한 긍정적이고 장기적인 교육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현대 교육의 중요한 과제로 여겨지고 있다. 체벌 개선은 단순히 체벌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학생과 교사 모두가 성장할 수 있는 긍정적인 교육 환경을 구축하는 과정이다. 긍정적 훈육, 상담, 교사 연수, 학생 참여 규칙 등의 대안을 통해 체벌을 완전히 대체하고, 학생의 인권과 학습 환경을 보장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무엇보다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 비단에 회초리를 싸서 장롱 깊은 곳에 보관했던 선조들의 지혜, 그리고 부모의 인내가 자식의 인내를 만들어 주는 실천도 그렇다. 특히 부모가 과도하게 학교에 관여하거나 교사에게 간섭하는 행동들은 훈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