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경칠서(武經七書),무경칠서직해( 武經七書直解)

2021. 1. 16. 22:12Report/Research Note

728x90
반응형

 

明本武經七書直解》本。

11세기 중반 중국 송나라에서 편찬되어 고려에 전해진 『무경칠서』는 조선시대에 武科가 설치되면서 관심이 높아졌다. 무과 과목인 講經의 대상 서적이 되면서 『무경칠서』가 중요해지자 이 책에 주석을 붙여 『武經七書註解』가 편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무경칠서주해』의 편찬은 무인의 학습을 위한 것으로 수준 높은 兵學 연구가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다.
명나라 초기 劉寅이 편찬한 『武經七書直解』가 15세기 말 조선에 도입되면서 조선의 병학에 대한 이해는 더욱 깊어지게 된다. 특히 16세기 말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새로운 전술의 정립이 필요해지게 되면서 중국의 여러 兵書가 도입되고 『武經七書直解』가 다시 간행되었다. 17세기 중반 병자호란의 패배 이후 조선은 청의 침입 대비와 북벌 추진의 일환으로 고전병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자 자연스럽게 『武經七書』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18세기 『무경칠서』 학습과 간행은 병학에 대한 높아진 관심의 반영이었다.
18세기 후반 정조대에는 『무경칠서』의 여러 주석본을 참고하여 새로운 『무경칠서』 편찬을 시도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전술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정조의 사후 이 작업은 중지되었으나 그 성과의 일부는 19세기 간행된 병서에 반영되었다.

Compiled during the Song Dynasty of China in the 11th century, the Seven Military Classics (武經七書) was first imported to Korea during the Goryo Dynasty. Interest in the Seven Classics would increase substantially during the Joseon Dynasty, as the dynasty introduced the Military Exams, and the Classics were included in the Oral Recitation part of the exam. As a result, the Seven Classics were published actively, much of it annotated. However, most were essentially published as study material for the exams, meaning in-depth research into military theory was lacking.
That would change when the “Direct Commentaries on the Seven Classics(武經七書直解)” by Liu Yin(劉寅) of the Ming was introduced in the late 15th century, which led to a more profound understanding of military theory in Joseon. Especially, as the need for new tactics, and strategies increased in the wake of the Imjin War in the late 16th century, there was an active drive to acquire a more diverse array of military books from China, and the “Direct Commentaries” were published once more.
Following the dynasty’s defeat to the Manchu Qing in the mid-17th century, there was renewed interest in classic military theory and interest, in response to the possibility of invasion from the Qing and during preparations for ‘the northern expedition’ against the Qing. Accordingly, interest in the Seven Military Classics increased, which led to enthusiastic research and publication of the Seven Military Classics.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in the late 18th century, many extant versions and translations of the Seven Military Classics were referenced as part of efforts to produce newer versions of the Seven Military Classics and thus develop new tactics for the military forces. Though these efforts ceased immediately after the death of Jeongjo, some of the results are clearly reflected in military theory literature published in the 19th century.

조선시대 『武經七書』의 간행과 활용의 양상 -『武經七書直解』의 도입, 간행을 중심으로-

Utilization and Publication of the Seven Military Classics during Joseon Dynasty

노영구(2017). 조선시대 『武經七書』의 간행과 활용의 양상 -『武經七書直解』의 도입, 간행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보 제80호, 조선시대사학회, 117 - 143 (27 pages)

 

연구노트

 

인류의 역사는 한마디로 투쟁의 역사다. 

크게는 나라와 나라사이의 전쟁에서부터 작게는 개인과 개인사이의 다툼에 이르기까지 숱한 싸움이 이어져 왔고, 기업과 기업간의 경쟁적 암투역시 치열하다. 이러한 현상은 영원히 끝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경쟁과 투쟁이 인류를 발전시켰고, 문명의 탐을 쌓아 올린 것이다.

무기나 전쟁의 형태가 바뀌더라도 인간의 본질이 변하지 않는 한 무예의 병법서의 지혜는 무궁무진해진다.

전쟁은 인간들이 생명을 걸고 지력과 체력은 모두 쌓아붓고 국가의 정치, 경제, 문화까지 총동원한다.

병가의 지혜는 단지 정쟁이나 군사면에서 뿐만 아니라, 크게는 정치와 경제면에서의 전략, 전술 결정에서부터 작게는 조직이나 인간관계면에서부터 작게는 처세에 이르기까지 무한대로 적용될 수 있다.

현대사회에서 인문학 열풍의 시대를 맞이하여 무예병법은 고대의 병법을 떠나 현대인이 복잡하고 치열한 경쟁사회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통찰을 담고 있아 삶의 지혜를 얻을 수 있다.

 

728x90
반응형

'Report > Research No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무체육회, 소림축구 원조?  (0) 2021.02.04
흑인 사무라이, 야스케  (0) 2021.01.31
6세기 아시아 사람들의 모습은?  (0) 2021.01.10
OECD 경제성장률 1위  (0) 2020.08.12
코브라효과  (0) 2020.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