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경기(4)
-
검도가 펜싱이 된 이유
일본의 검도는 크게 두번의 변화가 온다. 첫번째가 메이지유신이후 폐도령으로 격검이 등장한 것이고, 제2차대전 패전으로 미군정이 검도 용어와 활동금지로 '시나이(撓)경기'를 만든 것이다. 이러한 두번의 변화는 지금 검도(Kendo)를 정착시켰다. 그중에서 시나이경기를 보면 다음과 같다. 1945년(昭和20年) 8월15일 태평양전쟁이 종결되고 미군정하에 검도 및 검술은 명칭사용뿐만 아니라 행위에 대해 전면적으로 금지되었다. 그러나 또다시 그들은 ‘시나이경기(撓競技)’로 이름을 바꾸고 스포츠로서의 활로(活路)를 찾아 1950년(昭和25年) 4월에 발족을 거행했다. 서양의 펜싱 형식을 흉내 냈다. 호면은 ‘마스크’라고 하고 ‘면금’의 점이 철망으로 되어 있었으며, 면포단은 두꺼운 천포제로 펜싱의 면과 유사하게 ..
2021.01.02 -
일본검도를 왜 우리것이라 주장하는가?
전검련, 홈페이지통해 견해 밝혀 전검련이 홈페이지에 게재한 검도에 대한 견해 ‘켄도(이하 검도)’로 불리는 일본검도는 일본인들의 정신함양과 밀접한 무도중 하나다. 이러한 검도에 대해 최근 일부 한국네티즌들이 전일본검도연맹(이하 전검련)을 자극한 모양이다. 최근 전검련은 인터넷상에서 검도의 기원이 한국이라는 주장에 대해 견해를 밝힌 글을 홈페이지에 게재해 눈길을 끈다. 이 글은 최근 인터넷상에서 검도의 종주국론에 대한 논쟁이 뜨거워지면서 시작되면서 '검도에 관한 전검련의 견해'라는 제목으로 입장을 밝혔다. 여기서 전검련은 “검도는 일본의 사무라이가 검(일본도)을 사용하여 전투를 통해 칼의 이법(理法)을 배우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검도는 검의 이법 뒤에는 사무라이정신을 배우는 것이며, 검의 조정법을 ..
2010.09.05 -
검도는 요(撓)경기시대가 있었다
미군정하의 일본은 검도라는 말을 사용하지 못했다. 그러나 그들은 지속적인 명맥을 유지하기 위해 새롭게 고안된 요경기(撓競技)라는 것을 만들었다. 당시의 검도와 비교해 보면 다양한 점에서 특색이 있는 경기지만, 이것은 미군정하에 기존 검도정신함양을 부여하지 못하도록 한데에 대해 서양의 펜싱 형식을 흉내 냈던 방식으로 만들었다. 호면은 ‘마스크’라고 하고 ‘면금’의 점이 철망으로 되어 있었고, 면포단은 두꺼운 천포제로 펜싱의 면과 흡사하게 만들었다. 갑은 ‘프로텍터’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펜싱식으로 서구사회에서 15세기부터 16세기에 걸쳐 행해진 금속 옷감을 사용해서 서구의 15세기로부터 16세기에 걸쳐 행해진 금속을 옷감에 철 또는 대나무의 세판을 꿰맸던 것으로, 호완의 경우는 ‘글러브’라고 해 검도의 호..
2010.08.20 -
요 경기와 이도와의 관계
제2차대전에 패배한 일본은 미군정하에 들어간다. 미군정은 일본의 무사도정신을 억누르고, 검도금지령을 내렸다. 이런 과정에서 펜싱보호구를 착용하고 검도를 하는 요경기가 생겨났다. 새롭게 고안된 요경기(撓競技)는 그때까지의 검도와 비교하여 다양한 점에서 특색이 있는 경기지만, 이것은 미군정하에 기존 검도정신함양을 부여하지 못하도록 한데에 대해 서양의 펜싱 형식을 흉내 냈던 일본적 요(撓)의 경기이였다. 호면은 ‘마스크’라고 하고 ‘면금’의 점이 철망으로 하여, 면포단은 두꺼운 천포제로, 펜싱의 면과 흡사하게 만들었다. 갑은 ‘프로텍터’라고 하고, 펜싱식으로 서구사회에서 15세기부터 16세기에 걸펴 행해진 금속 옷감을 에서 서구의 15 세기로부터 16 세기에 걸치고 행해진 금속을 옷감에 철 또는 대나무의 세판..
2010.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