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2)
-
올림픽에서 콘돔을 주는 이유는?
파리올림픽 선수촌에서 선수단에게 콘돔이 30만개 제공되고 있습니다. 선수촌에 자유로운 영혼들이 많은걸까요? 88서울올림픽때부터 선수에게 지급하고 있고, 선수촌 숙소 인포에는 추가로 가져갈 수 있게 쌓아 둡니다. 어느 올림픽때는 콘돔을 실은 콘테이너가 사라져, 긴급 조달하느라 오륜기가 없는 콘돔이었다죠? 올림픽선수들도 콘돔은 made in korea가 상품이라고 한답니다. 우리나라 숙박업소에 가면 무료로 제공되는 콘돔도 88올림픽때 학습된 걸까요? 콘돔제공은 선수들의 안전의 일환입니다.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올림픽에서 콘돔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선수촌에는 다양한 시설이 있습니다. 나이트클럽과 바, 다양한 여가시설들이 있고, 젊은 선수들이 좋은 말로 교류공간이 많습니다. 콘돔 배포는 올림픽 의 전통이다..
2024.07.29 -
가라테가 올림픽에 가려면
2024 파리올림픽에 가라테가 제외된 상황에서 가라테계가 어수선하다.2020도쿄올림픽의 가라테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2024후보종목에서 제외되었다는 점에서 더욱 아쉬워 하고 있다. 프랑스의 경우 가라테 강국으로 알려져 가라테계에서는 2024 종목채택에 희망적이었다.이러한 결과는 최근 올림픽을 앞두고 치러지고 있는 각종 가라테 국제경기가 일본이 독식하고 있는 것도 무관하지 않는듯 하다. 기술평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올림픽 잔류는 힘들다.
2019.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