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백만인의 가라테에 실려있는 차력사 장의 이야기 |
|
“더는 참을 수 없다. 한마디 사과도 않고 도망치는 터무니없는 놈이다.”라고 하고는 씨름 장사는 달려나가서 장 씨의 뒷덜미를 잡아채서 술자리 한가운데로 끌어냈다. 그러면서 우람한 주먹으로 장의 콧등을 마음껏 치면서 동시에 박치기를 먹였다. 쿵하는 예리한 소리가 나면서 장 씨는 숨을 죽인 사람들 앞에서 뒤로 크게 쓰러졌다. 그런데 곧 “푸푸푸…”하는 낮은 웃음소리가 함께 의식을 잃고 기절했으리라고 생각한 장 씨가 성큼 일어나더니, 흐르는 코피를 닦았다. 그 장 씨의 한쪽 손엔 비틀어 잘린 상투가 피가 흥건히 묻은 채 손에 들려 있었다. 어느 사이에 비틀어 잘렸는지 누구의 눈에도 볼 수 없을 정도로 빨리 일어난 것이었다.
이 때 ‘헉’하는 소리가 났다. 머리가 피투성이가 된 채 장사가 고통을 견디다 못해 비명을 지른 것이다. 금시 몸이 큰 남자의 얼굴은 머리에서 흐른 피로 붉게 물들고 말았다. 큰일이었다. 술자리는 아수라장이 되었다. 사람들은 어쩔 줄 몰랐다. 그래도 노인들의 지시로 술을 머리에 붓고 세척한 다음 지혈을 위해 된장을 바르고 응급조치를 취하는 한편, 의원을 불러오게 했다. 그러는 동안에 군중 사이에서는 여기저기에서 웅성거리는 소리들이 들렸다. 그것은 소문대로 차력술의 위력을 눈앞에서 똑똑히 보게 된 데 대한 놀라움의 탄성과 찬탄의 소리였다. 그런데 막상 당사자 장 씨는 찬탄의 대상이 된 사람이 자신아니라느 듯이 여러 사람과 함께 쓰러진 사나이의 머리를 치료하는 일을 거들어주고 있었다. 인연이란 이상한 것이어서 거구의 장사와 그 후 이 둘은 형제처럼 사이가 좋아져, 친한 친구가 되었다.
또 어느 때 이 지방 일대에 폭풍우를 만나게 되었는데, 격렬하게 내린 비 때문에 홍수가 나서, 탁류가 마을을 삼켰다. 어느 마을 산의 급경사면의 가운데에, 어른 넷이 껴안아도 안을 수 없을 정도의 바위가 묻혀 있었는데 탁류로 바위 주위의 흙이 씻겨나가자 비탈을 미끄러져 굴러 내리기 시작했다. 마침 그 때 여기를 돌보려고 온 장 씨가 이것을 보자 진흙탕 경사면을 마치 나르듯이 달려가서 바위를 따라가 손으로 받아 막았다. 바위가 미끄러지는 것을 보자 사람들은 이 바위아래에 있는 농가와 그 안의 사람을 다치게 될 것으로 절망했지만, 장 씨의 초인적인 활약으로 집도 부서지지 않았고 사람도 구했다. 장씨는 이 때 바위를 손으로 막는 바람에 몸의 절반이 진흙 속에 빠져들었다. 뒤에 장 씨가 받았던 바위를 안전한 장소로 옮기는데 10인 이상의 도움이 필요했다. 후에 이 바위를 옮길 때 장정 네다섯이 달려들어서 겨우 움직였다고 한다. 어째든 그가 바위를 쫓아갔을 때의 모습은 그 빠르기가 천마와 같았으며 바위를 막아섰을 때의 그 힘은 범을 능가할 정도였다고 하는데 마을 사람들의 과장이 아닌 마음으로부터의 소감이었다.
가을이 되어 추수할 때가 되었다. 마을이 타작으로 바빠지면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장은 어디선가 홀연히 나타났으며 타작이 끝나자 역시 홀연히 사라졌다. 어느 때 차력에 대해서 끈덕지게 질문하는 마을 사람에게 장 씨는 한마디만 나직하게 말했다. “힘이란 쓸수록 강해지는 것입니다. 수련만 제대로 한다면 반드시 신의 힘이 체내에 머물게 됩니다. 그런데 사실 저는 도중에 차력을 그만둔 의지력이 없는 사람입니다.”
당시 최영의는 장 아무개 이야기를 50년 전의 일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책이 1969년(소화 44)에 발간되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차력가 장 씨는 3․1운동이 벌어졌던 1919년경을 전후한 시기에 살았던 인물로 보인다. 하지만, 더 이상의 이야기는 찾을 수 없어 아쉬움을 준다.
최영의는 전북 김제에서 태어났는데, 어릴 때 집이 부유해서 일하는 사람을 20여 명 정도 두었다고 한다. 그 당시 일꾼 중의 한 사람이 덕수였는데, 그로부터 어떤 무술을 배웠다고 한다. 하지만 그에게 배운 무술이 어떤 종류였는지 명확하지 않다. 중국 ‘남권’이라고도 하고 ‘택견’이라고도 하며, ‘차비’ 혹은 ‘잽이’라고도 한다. '백만인의 가라테'의 저자 소개를 보면, 그는 9세 경에 권법을 배워 중학 2년에 초단이 되었다고 하고 있어 권법을 배웠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전 세계의 무예를 소개하는 내용에는 조선의 무예를 서술하면서 그 특징으로 박치기와 머리카락(댕기머리?) 치기, 어깨치기 등의 특이한 기법이 있었다고 하며 발을 사용하는 소년과 선비의 대결 모습을 그림으로 표현하면서, ‘조선권법’이라고 기재하고 있어, 권법이 특정 무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여하튼, 이 때 무술을 배우는 과정에서 덕수로부터 들었거나, 당시 동네에 널리 알려져 있던 차력사 이야기를 기록한 것으로 생각된다.
<ⓒ무카스미디어 / http://www.mooka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