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7. 11. 02:30ㆍReport/Martial Arts
10년전 1999년 강의자료다. 그동안 이래저래 컴퓨터 고장으로 잃어버린 자료들이 많은데, 과거 올려놓은 자료가 여기저기 인터넷에서 돌아다니며 보관중인 것들을 다시 찾게 된다. 이 자료도 마찬가지다.
무술에서의 게이고는 고교시절 검도수업을 맡으신 박재욱선생님(현재 미국활동)에게 처음 들은 이야기다. 게이고든 수-파-리든 아무리 생각해도 지금 국내 무도론강의에서 어렵게 접근하거나 아예 접근도 못한 이론들을 고교시절 들려주었다. 그 덕에 대학원에서 일본 원서를 접하든, 무술전문용어를 접할때 그리 어렵지 않았던 것으로 기억된다.
가만히 게이고를 보면 해방이후 우리 무술계 1세대들은 수련단계인 수-파-리의 '수'단계에서 해방을 맞았다. 그러다 보니, 오로지 '지키는 것'만 배웠다. 깨는 '파'나 떨어져 나가야하는 '이'를 모르는 사람들이다. 그러니 지금도 원로가 돼서 시합장 돌아다니며 온갖 지킬 '수'만을 강조하며 사는게 아닐까. 그걸 배운 2세대로 3세대는 얼마나 답답할까. 일본한테 배울려면 제대로 배워야지. 어설프게 배운 것을 우리 무예에 접목해 일본무도처럼 만들고 있으니 한심하다는 생각도 해 본다.
여기서 게이고는 일본무도에서 수련법의 한 종류로 사용되고 있다. 왜 게이고를 하는지 잘 알려주고 있다.
---
기원전 500년전 이미 사용된 단어
현대 일본무도스포츠는 순종을 미덕으로 여기는 가치관이 강하게 남아 있다. 경쟁스포츠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는 승패의 관념과는 상이한 비경쟁적인 가타(形)를 고집하는 일본무도의 특질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무도의 수련체계를 이루는 게이고(稽古)에 대하여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일본의 국어사전에는 게이고(稽古)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게이고의 자의(字意)는 “옛날의 이치(古の道)를 숙고(熟考)한다”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학문, 학습’, ‘수업, 연습(특히 무도와 무예에서의 많이 사용하고 있음)’, ‘수행(修行)이 쌓여 학식이나 재능이 뛰어남을 높게 평가되는 것’이라는 설명도 눈에 띤다.
이러한 어의를 근거하여 게이고의 개념을 살펴보면 가장 오래된 게이고의 기술(記術)로는 기원전 500년경에 씌어진 중국의 《書經》에 ‘日若稽古帝堯’라는 구절이 있다. 또한 전한(前漢)의 시대상을 기록한 《漢書》에 ‘文景務在義民, 至千稽古禮文之事, 有多闕焉’이라는 기록 중에 ‘稽古’란 단어가 있다.
이 두 편의 기록에 의하면 당시에는 게이고의 의미는 앞에서 설명한 “옛날의 이치(古の道)를 숙고(熟考)한다”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432년에 발행된 《後漢書》에는 “..........今日所蒙, 稽古之事”라고 기록되어 있어 시간적으로 1,000년이 흐른 시점에서는 계고의 의미가 ‘학문’ 또는 ‘학습’이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본의 경우는 822년의 《三代格》에 최초로 기술되어 있다. 이 기록에는 “百性屢飢, 或至死者在, 天事若稽古, 國則隆泰”라고 씌어져 있어 당시에는 “옛날의 이치(古の道)를 숙고(熟考)한다”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 후에 1045년 이후의 기록에서는 게이고의 의미가 학문 혹은 학습이라는 의미로 변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1207년에 후지하라(藤原定家)가 기록한 《明月記》에서는 “人本自全無時代了見之心. 以見及事爲先例, 世以爲稽古之器”라는 구절이 있고 이 기록에서는 게이고의 의미를 “각고의 노력으로 옛것을 추구하고 그 의의를 심화시킨다”로 해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게이고의 어의는 초기에는 “옛날의 이치(古の道)를 숙고(熟考)한다”라는 의미에서 ‘학문․학습’이라는 의미로 변천하게 되었고, 이후에는 ‘정신적인 수양’이라는 의미로 그 의미가 확대되어 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1400년경 이후에는 게이고의 의미가 수양성(修養性)을 더욱더 강화시켜 주로 무술․무예․예도(藝道)의 의미로 사용되었고, 이것은 무술의 수행과정과 일본적 연습(단련)체계로서 확대해석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연습, 훈련, 단련, 수행과 유사단어
다음으로 게이고와 의미가 비슷한 연습, 훈련, 단련, 수행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
연습(練習)이란 단어의 사전적 정의는 “반복하여 가르침을 받는다”라는 의미이고, “일정한 작업을 반복하여 그 기술을 습득하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정의로 본다면 게이고와 연습의 의미는 동일한 의미로 해석이 불가능하다.
훈련(訓練)의 사전적 정의는 “깊이 생각하여 몸에 익히는 것”, 또는 “목표에 도달하기 위하여 실천적인 교육활동, 조직적인 교육활동”, “군대나 공장에서 실제적인 교육의 총칭, 군사훈련 등”으로 정의된다. 그러므로 훈련이란 단어에는 군사적인 색채가 강하게 나타난다.
또한 단련(鍛鍊)이란 용어는 일본에서 “수양, 또는 훈련과 게이고를 쌓아, 기예(技藝)나 마음을 닦는다”라고 정의하고 있고, 수행(修行)이란 용어의 정의는 “계율을 지키고 불심을 실천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므로 연습이란 용어에서는 스스로의 의지로 어떤 기술을 습득하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고, 훈련은 자신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타의에 의하여 기술을 습득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습은 자주성(自主性)이 강조되어 있고 훈련이라는 용어에는 다분히 타의성(他意性)이 강조되고 있지만, 기술습득이라고 하는 측면에서는 그 공통된 의미도출이 가능하다.
그러나 ‘단련’의 의미에는 단순하게 기술을 습득하는 것을 뜻하지 않고 그 기술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의미도 함께 포함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단련과 게이고는 밀접한 의미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게이고는 그 자의(字意)에도 “옛것의 이치(古の道)를 숙고(熟考)한다”라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으며, 반복적인 동작으로 인하여 그 진보는 있을 수 있지만 양적인 측면이 강조되지 않고 기술의 질적인 면이 강조된다. 그러므로 게이고는 ‘道’의 개념이 포함된 용어라고 할 수 있다.
신가케류(新陰流)의 어록집(語錄輯)인 《병법가전서(兵法家傳書)》와 후지하라(藤原)가 기록한 《면병법지기(免兵法之記)》에서는 게이고(稽古)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초심(初心)의 게이고수련은 먼저 유파의 기본을 이해하는데 전념을 다해야 한다. 천리길도 한걸음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초심을 잊지 않고 그 외의 것은 생각하지 않고 평상심(平常心)을 가지고 수련에 임해야 한다., 그 후에 조금씩 형의 윤곽을 이해하게 되면 스승의 가르침에 어긋남이 없도록 스승의 몸짓과 언행을 철저하게 따라하는 마음가짐이 중요하다. 형의 음미(吟味)가 너무 강하게 되면 기력의 소진을 가져오는 결과를 초래한다. 무엇보다도 형의 수련이 우선시 되고 그 다음에 완급을 조절하여 기력의 충실을 기해야 한다. 형을 중심으로 기법의 수련이 숙달되게 되면 자신의 단점을 보완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심기가 충실하게 되면 아무리 강한 상대라도 기력으로 제압할 수 있다는 마음가짐이 중요하다. 그러나 가타의 수련이 충실하지 않으면 자신의 단점을 장점으로 전환시킬 수 없다. 자신의 단점을 알지 못하면 심기는 양성되지 않는다. 합기도의 수련과정에서 끊임없이 교에 충실하도록 하는 이유는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또한 니덴이찌류(二天一流)의 유조(流祖)이자 《오륜서(五輪書)》의 저자인 미야모토무사시(宮本武藏)는 "스승은 바늘과 같고 제자는 실과 같은 존재로서 끊임없이 게이고를 해야한다; 師ははり(針)弟子はいととなって、たへず稽古有べき事也)"고 하며 검법의 이치는 스승의 모든 것을 제자가 게이고의 과정에서 기술수련과 마음을 완성시켜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결론적으로 게이고의 사상에는 단순하게 기술만을 습득하는 것이 아니고 그 기술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과정이 중요하고 그 위에 정신적인 수양성이 강조된 일본무도 수련체계의 특질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이러한 특질로 인해 일본의 무도스포츠에서는 게이고(稽古)와 오사라이(お侍い) 사상이라고 하는 개념이 발달하게 되었다. 이러한 일본무도의 특질은 근대화의 흐름 속에서 강도관유도(講道館 柔道)를 필두로 하여 ‘술(術)’보다는 ‘道’를 강조한 배경이 있다. 이것은 근대화과정에서 소멸되어 가는 ‘術’의 개념으로 구성되어 가는 무도를 경쟁이라는 형식을 부정하고 무도의 덕목을 강조하는 정신을 중심으로 새롭게 구현하자는 의도였다. 이러한 의도는 강도관 유도의 창시자인 가노지고로(嘉納治五郞)가 주창한 ‘精力善用, 自他共榮’의 교육이념에서 알 수 있다.
트레이닝, 연습과는 다른 의미
일반적으로 ‘트레이닝’, ‘게이고(稽古)’, ‘연습’의 용어를 무의식적으로 혼용하고 있고 모두 같은 의미로 사용해도 무방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용어는 체육학(體育學)과 무도학(武道學)에서의 전문분야에서는 이 용어사용을 서로 다른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트레이닝이란 근력이나 지구력을 비롯한 체력의 향상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트레이닝의 이론과 방법에는 해부학적인 지식과 생리학, 역학, 통계, 측정평가, 스포츠 의학, 심리학, 역사와 사회전반에 걸친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배경을 통하여 목적에 따라 실제 스포츠에 맞는 특수한 신체발달과 완벽한 기술구사, 전략개발, 나아가서는 건강증진과 상해 예방까지를 포함하고 있다.
게이고는 실전성을 바탕으로 한 무도의 기법이 집적되어 하나의 정형화된 틀로 성립된 가타의 반복적인 수련을 통하여 정확한 기술성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수양에 대해서도 사용되는 개념이다. 연습이란 유도의 자유연습(亂取) 연습, 레슬링이나 복싱의 스파링과 같은 연습법을 의미한다. 트레이닝으로 배양된 체력을 바탕으로 계고에서 익힌 기술을 정심(精心)으로 발휘하여 연습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단지 상대와의 기술경쟁만을 위한 신체활동은 연습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기술을 습득한다는 측면에서의 스포츠트레이닝방법과 전통수련법인 게이고는 의미상으로는 상당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견해는 무도스포츠를 표방하고 있는 태권도의 경우에서 찾아볼 수 있다.
스포츠트레이닝은 신체, 기술, 전술, 심리적 요소들의 단계적 연결을 강조하지만 무도수련은 정(精), 기(氣), 신(神)과 조신(調身), 조식(調息), 조심(調心)의 몸에서의 상호통합적 작용을 강조하였다. 단련은 단순한 신체적 기능의 향상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반복적인 신체적 수행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정신의 변화를 추구하고 나아가서는 정신과 신체의 통합을 강조하는 것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게이고의 개념이 연습 개념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연습이라는 용어에서는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습득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양적인 측면, 다시 말해서 산소 섭취능력의 향상, 일회 호흡량의 증가, 최대 수의적 환기량의 증가 등과 같은 양적인 개념을 나타내지만 게이고의 개념은 단순하게 기술만을 습득하는 것이 아니고 그 기술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과정이고 그 위에 정신적인 수양성이 강조된다
'Report > Martial Ar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시아 보안요원의 무술시범 (0) | 2010.07.15 |
---|---|
세계최초, 검도학과 개설 (0) | 2010.07.12 |
브라질 태권도 창립 40주년 페스티벌 (0) | 2010.07.07 |
修身齊家와 治國平天下 (0) | 2010.07.07 |
무예계를 이끌고 있는 두 원로 (0) | 2010.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