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rt/Health & Fitness(47)
-
북경체육대학
북경체육대학교. 우리 국립체육대와 너무 다르다. 이들에게는 이념이 있다. 탁월, 건강, 여가 등 곳곳에 적합한 단어를 넣어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북경체육대학에 무술관 신축이 한창이다. 그들은 무술을 경기뿐만 아니라 그들의 문화를 보여 주는 공연으로도 발달시키고 있다. 명예의 전당 이상의 상징적인 올림픽 메달리스트의 길은 북경체대인들의 자긍심을 심어 주는 공간이었다. 국내 체육대학은 말로만 외치는 올림픽 메달... 많은 돈을 들이지 않고도 얼마든지 알리고 찾는 사람들에게 긍지를 보여줄 수 있음에도 실천하지 않는다. (국내 체육대학의 일부 현실에 대한 내용은 자칫 오해를 불러올 수 있어 삭제합니다) 전교생 6400여명이 모금해 종합체육관앞에 동상을 세웠다. 모두가 이를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설명해 준다. 국..
2018.01.13 -
중국체육총괄, 국가체육총국
중국 체육을 총괄하는 국가체육총국. 국내 일부 학자들은 중국체육을 사회주의 체육이라며 제한적인 체육정책이라고 비판하지만, 체육만큼은 철저하리만큼 관리한다. 엘리트스포츠 위주일 것 같지만, 생활체육도 더 강조하고 있다. 어쩌면 우리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체육활동에 참여하고 있고, 중국정부는 '건신'으로서 체육정책을 펼치고 있다. 배울건 배워야 한다.
2018.01.13 -
First female South Korean soldiers earn coveted Expert Infantryman Badge
CAMP CASEY, South Korea (Oct. 31, 2014) -- On a historic day on the Korean Peninsula, two Republic of Korea army soldiers were the first females to earn and wear the Expert Infantryman Badge, which was awarded to them at a graduation ceremony here, Oct. 23. Staff Sgt. Kwon, Minzy and Staff Sgt. Kim, Min Kyoung, both infantry soldiers from the Republic of Korea's 21st Infantry Division, endured t..
2016.06.09 -
축구 척구 족구 축국
축구(蹴球)는 ‘공을 발로 찬다.’라는 뜻을 지닌 한자어로 일제 강점기에 일본어에서 들어온 말이다. 현재 일본에서는 영어 단어 soccer를 발음한 사커(サッカー 삿카)를 사용하지만, 당시엔 일본에서도 축구(蹴球 슈큐)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사실 축구가 처음 한반도에 전래할 당시에 한국(당시 조선)에 영국 해군이 정부의 공식 허가를 받아 서울의 훈련원(동대문 운동장일대) 연병장에서 편을 갈라 축구 경기를 하였고, 경기가 끝난 뒤 구경을 나온 한국 사람과 공을 가지고 놀았는데, 운동 경기의 이름을 몰라서 척구(躑球 또는 踢球)라는 말로 표현하였다. 같은 한자 문화권인 중국에서는 족구(足球)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어에서 말하는족구는 다른 스포츠이다. 오늘날 영어에서 축구를 의미하는 단어는 풋..
2016.01.31 -
1905보성전문학교의 근대체육수업 모습
1905년의 보성전문학교의 체육시간 모습, 보성학원에서 만든 자료(도서출판 기파랑), 저작권은 70년이 경과되어 소멸된 자료임.
2015.04.29 -
朴정부, "마이너국제스포츠경기 지원하지 않겠다?"
박근혜 정부가 가장 먼저 생각한 부분은 국가 체육예산의 증액이다. 체육계의 기대가 있었던 만큼 청신호로 보였다. 2013년 체육예산을 총 1조599억 원으로 책정했고 이중에서 2715억 원을 정부가 담당한다. 나머지 8884억 원은 국민체육진흥기금에서 충당한다. 국민체육진흥공단은 체육진흥기금을 전년 대비 22.5% 대폭 상향 조정해 박근혜 정부의 체육정책에 적극적으로 힘을 보탰다. 반면 체육행정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체육부 신설은 무산됐다. 대통령직인수위가 지난 1월 15일 발표한 정부조직개편안에서 문화체육관광부를 현행대로 유지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1993년 문화부에 흡수된 이후 20년 동안 체육만을 위한 독립 기구를 꿈꿔온 체육인들의 염원이 물거품이 된 것이다. 박정부의 체육정책에 대한 앞으로의 모..
2013.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