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무학교

2011. 10. 20. 17:04Report/Martial Arts

728x90
반응형

독립군들의 해외활동이 많았던 일제시대. 
독립군들의 교육을 맡았던 학교들이 많이 존재한다. 그러나 해외에서 활동하고 있던 학교들에 대해서는 아직 우리에게는 피부로 와닿을만큼 잘 알려지지 않았다.
무예계에서 관심을 가져할 것은, 이들은 무예와 관련된 교과목이나 훈련프로그램이 존재했다는 것이다. 일제하에서 전통무예가 사장되었다는 기존 이론을 바꾸어놀 수 있는 사실을 찾을 수도 있다.
해동학교와 진성학교 등의 학교를 비롯해 멕시코에 있던 숭무학교도 대표적인 한 예가 될 수 있다.
1910년에서 1913년까지 존재했던 승무학교에서는 무엇을 배웠을까?
"이근영의 지휘 아래 2개 소대 110여 명의 한인군대는 무예과목을 훈련하고 시내를 행진하며 기상을 드높였다"라는 말처럼 당시 무예과목이 존재했다는 사실만으로도 무예를 공부하는 사람들은 군침이 돌것이다.
숭무학교는 미주 본토의 헤스팅스소년병학교 및 하와이의 국민군단사관학교와 더불어 북미 한인 사회에서 무관양성을 표방한 대표적 학교이다. 과연 신식군대의 무술이었을까. 일본무술이었을까. 우리가 아는 유술과 격검이었을까. 아직은 많은 사료들이 발견되고 있지는 않지만, 이 당시 학교생활을 했던 사람들이 대부분 이 세상을 떠나신분들이니 알길은 당시의 사료를 찾는수 밖에 없다.
숭무학교에 대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자료를 보면 다음과 같다.



"1909년 4월 15일, 4년간의 강제노동 계약에서 해방된 한인들 중 이근영·신광희·조병하 등은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로 연락하여 멕시코 한인들의 구제와 생활지도를 요청하였다. 대한인북미총회는 특파원 방화중·황사용을 파견하여 동포들의 사정을 조사하였으며, 5월 9일 대한인국민회 메리다지방회가 설립되기에 이르렀다. 창립 당시 선출된 임원진은 회장 이근영, 부회장 방경일, 총무 김윤원, 서기 신광희, 재무 김윤선, 평의원은 최정식, 유진태, 박선일 등이었다.
메리다 지방회는 독립운동자금을 부단히 모금·송금하는 한편 해동학교, 진성학교를 설립하는 등 한인사회의 중심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멕시코 순방에 나선 안창호는 1918년 2월 1일 메리다 지방에서 개최한 국민회 제10주년 기념식에 참석하여 연설하였다.
한편 메리다 국민회를 중심으로 독립군 양성학교인 숭무학교가 조직되었다. 1909년 11월 17일 메리다 지방회관에 전체 회원이 운집한 가운데, 숭무학교 창립행사가 거행되어 도 지휘관에 이근영, 조교에 양귀선·조병하·이수근을 선임하였다. 이튿날 18일 이근영의 지휘 아래 2개 소대 110여 명의 한인군대는 무예과목을 훈련하고 시내를 행진하며 기상을 드높였다. 구한국군 공병 하사 출신인 숭무학교 교장 이근영은『軍務要領』·『步兵要操抄選』을 저술, 군사교본으로 활용하였다. 그러나 멕시코 혁명으로 회원들이 사방으로 흩어지는 바람에 1913년 숭무학교는 폐교되었다.
현재 국민회 메리다지방회와 숭무학교가 있던 L 자형의 단층 건물이 남아 있다. 상가건물로 쓰이고 있는데, 지붕 위에는 당시 지하수를 뽑아올리기 위해 세웠다는 녹슨 풍차가 얹혀져 있다."

"노재연,『재미한인사략』상, 나성, 1951. 김원용,『재미한인오십년사』, Reedley, California, 1959. 호세 산체스 박, 이영숙 편,『유까딴의 첫 코리언』, 인문당, 1988. 서성철,「멕시코 한인 이민사 현황과 문제점」,《재외한인연구》5, 1995. 이자경,『한국인 멕시코 이민사』, 지식산업사, 1998."
--

멕시코에는 메리다 지방회가 조직되면서 숭무주의가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띄티·작골·쏘실 등의 농장에는 광무군인 출신들이 모여 조국의 회망을 성찰하고 장차 위국헌신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매일 노동여가에 한두 시간씩 병법·체조 등 군사훈련을 실시하고 있었다. 멕시코 각지의 동포가 군인출신이라 한 것처럼 실제로 광무군인 출신이 2백여 명이 있었다. 그 가운데 조병하는 청년 수백 명을 모아 매일 노동 후 여가를 이용하여 체조·운동·보법 등 무기(武氣)를 배양하였다(『황성신문』 1909년 10월 5일자, 「武氣培養」). 한편 메리다 지방회에서는 각 농장에 경찰소를 설치하였다. 깔게독, 씨실체, 사실, 띄티, 노하깔, 씨옵 등지에서 경찰소를 설치하고, 동포들에게 군법·체조 등 군사훈련을 실시하였다. 작둔지방의 경우 교장 이수근, 2등교감 양귀선의 지휘 하에 군사훈련을 하였으나, 교감 한 명으로는 감당할 수 없어 3등교감 천관옥을 보강하고, 교련방법도 확장하였다(『신한민보』1909년 12월 10일자,「국민회보」). 이리하여 한인들의 자치권을 확보하는 동시에 조국광복에 대한 민족정신을 고취시켰다. 메리다 국민회를 중심으로 독립군 양성학교인 숭무학교가 조직되었다. 1909년 11월 17일 메리다 지방회관에 전체 회원이 운집한 가운데, 숭무학교 창립행사가 거행되어 도지휘관에 이근영, 조교에 양귀선·조병하·이수근을 선임하였다. 이튿날 18일 이근영의 지휘 아래 2개 소대 110여 명의 한인군대는 무예과목을 훈련하고 시내를 행진하며 기상을 드높였다. 이후 숭무학교 교장 이근영이 구한국군 공병 하사로 있던 경험을 살려 『군무요령(軍務要領)』·『보병요조초선(步兵要操抄選)』을 저술하여 군사교본으로 활용하였다(『신한민보』1909년 12월 8일자, 1910년 7월 20일자). 처음 학생 118명을 배출하였으나, 숭무학교를 확장하던 즈음, 1913년 멕시코 혁명이 일어나 학생들은 가족을 떠나 피난을 가거나 혹은 전쟁에 종군하여 사방에 흩어져 1913년 3월에 폐교되었다(김원용,『재미한인오십년사』, 345쪽). 그 후 1913년 이근영이 병사 3백 명을 이끌고 과테말라혁명에 참가하였다고 한다(『동아일보』1922년 8월 7일자, 「新朝鮮의 建設運動」). 그러나 이것은 사실과 다르다. 『신한민보』기사에 따르면, 이근영은 황민주의 권유로 이정구와 더불어 메리다로 와서 동포청년 33명을 모집하여 과테말라혁명 고용병으로 참전하였다고 한다. 이때 이근영 등은 멕시코시티에서 모집한 한인청년과 유카탄에서 모집한 청년 40여 명을 이끌고 과테말라혁명에 참가하였다. 당시 과테말라는 23년간 통치를 하고 있던 가브리엘 대통령을 축출하려는 혁명의 와중에 있었다. 이근영 등은 만일 혁명이 성공하면 미금(美金) 3백만 원을 받아, 이 돈으로 독립전쟁을 준비하려고 하였다고 한다(『신한민보』 1916년 9월 8일자, 「과테말라혁명에 한인 고용병」;『신한민보』 1916년 9월 14일자, 「멕시코에서」). 하지만 같이 혁명군에 참전하기로 한 황민주·이정구는 돈을 받고 한인용병들을 혁명군에게 넘겨주고 도망가고, 얼마 후 이근영도 종적을 감추었다. 한인용병들은 과테말라 혁명군의 학대를 받았으며, 풍토가 맞지 않아 고생을 하였다(『신한민보』 1916년 11월 1일자, 「혁명군에게 팔린 동포」).




728x90
반응형

'Report > Martial Ar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마공원에서 마상무예가 펼쳐진다  (0) 2011.10.21
격검가  (0) 2011.10.20
소년병학교  (0) 2011.10.20
세계태권도대회 개최 이상無  (0) 2011.10.20
전현희의원, 태권도 올림픽잔류 지원  (0) 2011.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