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무예계, 大변화 예고

2013. 1. 13. 16:16Report/Martial Arts

728x90
반응형
무예계의 침체는 경제상황과도 밀접하지만 무엇보다 정부의 정책과도 민감하다.

2008년 전통무예진흥법 제정과정에서 무예계는 흥분했다. 뭔가 이루어질 것이라는 기대때문이다. 하지만, 2012년까지 우리 무예계는 침체 그 자체였다. 일부 무예인들의 아집이 무예계를 혼탁하게 만들었고, 변화를 외치는 무예인들에게는 기대이하로 돌아오는 현실에 침묵해야 했다. 하지만, 변화가 보인다. 박근혜정부의 정권초기, 많은 무예인들은 뭔가 꿈틀대고 있다는 것을 느끼고 있다. 

올해 무예계의 큰 이슈는 2가지다. 

하나는, 전통무예진흥법 기본계획발표이고, 다른 하나는 유네스코의 국제기구인 ICM(International Center of Martial Arts)의 승인여부다. 둘 다 긍정적인 결과로 무예계에 다가갈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전통무예진흥법의 종목지정에 대해서는 많은 무예들이 지정될 수 있는 방안으로 발표될 것이고, ICM도 지난해 유네스코의 방문실사에서 긍정적인 평가였다는 점에서 승인 가능성이 높다. 무예인들이 기나긴 시간을 기다려온 성과가 올 한해 쏟아져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이 두 가지를 놓고만 기뻐 할 수는 없다. 무엇보다 무예인들은 세계무예인들이 참여하는 무술올림픽의 학술용역이 진행중인 것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2005년 충주시와 이시종 당시 국회의원(현, 충북도지사)의 제안으로 나오기 시작한 무술올림픽에 대해 현재 서울대학교 나영일교수팀에서 본격적인 실행을 위한 학술용역이 진행중이다. 2009년 정부의 세계종합무술대회 학술용역에 이어 충청북도가 직접 나서 자체 용역을 하고 있다. 이 용역이 오는 6월 결과가 발표되면 본격적인 추진위원회를 만들게 된다. 이 추진위원회는 국제행사 승인, Pre이벤트 등 과제를 수행하게 되고, 최종 승인이 날 경우 조직위원회가 구성돼 무술올림픽의 창건과 개최가 본격화 된다. 

정부의 기본계획, 유네스코 기구 유치, 무술올림픽 추진 등은 앞으로 무예계의 대변화를 예고 할 수 있다. 기존 엘리트스포츠에 포함된 무예종목이 올림픽이나 스포츠어코드 스타일이라면, 무술올림픽과 ICM은 유네스코스타일이라 할 수 있다. 무형유산으로서 무예가 전세계인들에게 다시 주목받을 수 있는 돌파구 역할을 할 것이다. 

무예계에서 외치던 제도적 장치의 필요성이 이제는 현실화되고 있다. 이런 시기 우리 무예계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무엇보다 내실화다. 모든 무예들이 자무예에 대한 내실화와 시스템구축에 노력해야 한다. 이것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정부의 정책과 국제기구의 아래에서 살아 남기 어렵게 된다. 이것이 제도적 장치가 주는 냉정함이다. 특히 대학의 무예관련학과들은 이 정책과 무예계의 환경변화에 대처해야 한다. 취업에 대한 문제, 신입생 유치 문제 등 현안들이 많지만, 무예계의 환경변화에 대처하지 못한 대학의 학과는 살아남기 힘들다.

지금 대학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정부는 전통무예지도자 양성을 위한 연수교재 및 연수과목에 대해 연구용역이 끝냈다. 이 용역에 보면, 기존 무예관련학과들이 어떻게 교과과정을 개편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기존 전임교수들의 취향이 아니다. 그리고 지도자 연수대상도 "선시험 후연수"체제로 필기시험에 합격하지 못할 경우 연수대상에서 제외돼, 각 대학별 응시생과 합격생의 비율이 대학 무예관련학과의 순위를 결정지을 수 있다는 점도 간과해서는 안된다.

여하튼, 무예계의 제도적 장치는 마련되고 있다. 무예계가 한층 변화할 수 있는 기회다. 제도가 만들어졌다고 준비되지 않은 무예인이나 단체에게도 혜택이 돌아간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매우 냉정해지고, 평가가 까다로워지며, 무예가 검증된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무예계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 심사숙고해야 할 것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