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무도정신의 뒷배경은 다쿠앙이 있었다.

2010. 1. 1. 12:59Report/Martial Arts

728x90
반응형


일본검도의 정신적 지주 다쿠앙선사
다쿠앙 소오호오(澤庵宗彭, 1573∼1645) 선사는 무도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익히 알려진 인물이다. 일부학계에서는 조선의 선승일 것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일단 출신지는 일본으로 학계에서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여기서 출생에 대해서는 거론하지 않겠다.

다쿠앙은 일본식 무짠지나 우리가 중국집에서 자장면을 시키면 나오는 ‘다꽝’이라 부르는 반찬(단무지)의 이름이다. 일본 도쿠가와 이에미쓰(德川家光)장군은 동해사(東海寺)를 방문했을 때 다투앙 선사가 평소 먹던 무짠지를 내놓았는데, 소박한 반찬이었지만 그 맛에 크게 감동을 받았다고 한다. 그 후 도쿠가와장군은 이 반찬의 명칭을 ‘다쿠앙쯔케’라 불렀고, 요즘엔 다쿠앙이라 부른다.

다쿠앙은 에도시대의 대표적인 병법서인 <부동지신묘록(不動智神妙錄)>이라는 편지를 쓴 저자이기도 하다. 부동지신묘록은 미야모토 무사시(宮本武藏)의 <오륜서(五輪書)>와 더불어 일본무도의 대표적인 병법서로 알려져 있다.

병법(兵法)은 원래 '사람을 죽이는 법'이나, 검술이나 창술 등을 총괄해 사용하는 말이기도 하다. 일본의 병법은 검술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 당시 검술이 중심이 된 일본은 혼란스러운 시기였다. 이에 대해 다쿠앙은 일본의 전국시대의 살벌한 분위기가 남아 있는 에도시대 초기에 무사가 지녀야 할 자세에 대해 강조했다. 특히 무사들이 겪어야 했던 죽음에 대한 공포와 사회적인 살벌한 분위기속에 진정한 무사의 자세는 부동심이라는 말을 정리한 것이다.


부동심은 삶을 지혜롭게 하는 실천공부

부동심(不動心)은 불교용어다. 이와 유사하게 사용된 용어로는 무심(無心)과 평상심이 있다. 현대검도에서도 사계를 극복하고 평상심과 부동심을 갖도록 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평상심은 평온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말하며, 부동심은 외부의 충격이나 어떤 상황에도 동요되지 않는 정신력을 의미한다. 마음을 어느 한 곳에 치우쳐져 있거나 욕심을 부리면 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논리다. 이렇다보니 이 용어가 최근 유행하고 있는 멘탈스포츠에서도 적절히 사용된다. 생사의 갈림길에 서 있는 무사들에게 던진 메시지가 지금은 스포츠에서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편안한 마음으로 스포츠에 참가해 경쟁을 하면 좋은 결과를 얻는다는 스포츠심리학의 이론과 다를 바 없다. 아무런 욕심 없는 무심(無心)의 상태에서 상대를 공격하여 의외의 효과를 거둔 경험들이 생활체육계에서도 이야기 거리가 된다. 이러한 현상은 군더더기 없는 마음이 몸과 일치되는 현상이기도 하다.

아무나 부동심이나 무심을 자유자재로 사용하진 않는다. 그것은 어느 정도의 수련경지에 도달했을 때, 혹은 심법의 단계가 도달했을 때 가능한 것이다. 또 이 경지에 도달한 것을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지도 자신밖에 모를 일이다. 똑같은 기량에서 결정적인 승부의 역할을 하는 것이 부동심이고 무심인 것이다. 선불교에서 말하는 ‘무심시도(無心是道)’라는 말처럼 생활 속에서 번뇌 망념이 없는 무심(無心)의 경지에서 자신의 삶을 지혜롭게 사는 것이 실천적인 공부라 할 수 있다.


삶의 여유 도장을 찾자

현대사회에서 청소년이나 성인들은 복잡한 사회구조로 인해 마음의 여유를 갈망한다. 독일의 헤리겔 교수가 일본에서 초청교수로 생활하면서 배운 일본의 궁도를 서양인의 관점에서 쓴 책이 있다. 이 책은 <궁도의 선>으로 서양인들이 일본을 이해함은 물론 동양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유명한 책이다.

그 책에도 “활시위를 힘으로 당기지 말고 마음으로 당겨라”라는 말이 있다. 이 역시 부동심과 무심을 강조하는 말이다. 팍팍한 삶에서 생겨나는 갈등과 불안, 그리고 스포츠나 직장에서의 승부욕 때문에 받는 스트레스를 또 다른 마음으로 극복할 수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어찌 보면 단순한 반찬인 단무지에 대해 당시의 실력자인 도쿠가와 장군은 단무지의 맛보다 다쿠앙 선사를 만나 정신적인 안정을 찾은 까닭에 단무지의 맛이 더욱 좋았을지 모른다.

삶의 번뇌 속에 살아가는 현대인들도 어느 순간 마음을 버리고 자연과 동화할 때 자신을 알아갈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현대인들은 그럴만한 여유를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 유일한 방법으로 주변의 도장을 찾아 부동심을 배우고 무심을 배우는 여유를 찾아보는 것은 어떨까.

 

728x90
반응형